건강정보

배뇨 습관결 건강 상태 .. 소변 본 뒤 방울이.. 잔뇨증상과 치료방법

작성자 정보

  • 안전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903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배뇨 습관결 건강 상태 .. 소변 본 뒤 방울이.. 잔뇨증상과 치료방법


b7430087a562a7f5398ad01072bc529a_1651408659_0583.jpg
 

과민성방광과 요실금 등 배뇨장애 질환은 중년 이후 찾아오는 고민 중 하나입니다. 여성의 배뇨습관으로 의심할 수 있는 질병과 올바른 배뇨습관에 대해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올바른 배뇨에 대해 알아야 배뇨습관에 이상이 생겼을 때 눈치챌 수 있습니다.

사람이 하루에 소변을 보는 횟수는 소변량과 방광 용적에 의해 결정되는데요 하루 평균 소변량은 보통 1~1.5L 이고 방광 용적은 400~500mL입니다. 소변량은 수분섭취량에 따라 달라지고 방광 용적은 600~800mL 이상인 사람부터 200mL 이하인 사람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정상적인 방광은 150~300mL 찼을 때 처음으로 배뇨감을 느낍니다. 평균적으로 500mL까지는 참을 수 있습니다.


정상 소변은 황색이나 호박색입니다. 물 섭취량에 따라 소변 농축 정도가 달라지면서 색이 짙어지거나 옅어집니다. 이외에 음식, 약제, 몸에서 나오는 대사산물, 요로감염 여부에 따라서도 소변 색이 바뀝니다. 리보플라빈을 섭취하면 노란색을 띠고, 알로에나 콩을 먹거나 나이트로프란토인, 항상제를 복용하면 갈색 소변이 나옵니다. 결핵약인 리팜핀을 복용하면 붉은 색으로 변합니다. 요로감염이 있으면 소변 색깔이 뿌혛게 탁해집니다.


b7430087a562a7f5398ad01072bc529a_1651408673_5084.jpg
 

배뇨습관에 문제가 생기는 이유

방광은 우리 몸의 노폐물을 배설하는 중요 기관으로 소변의 저장과 배출 기능을 담당합니다. 쉽게 말해 방광은 물을 가두어 둔 댐이고, 요도괄약근은 댐의 수문 역할을 합니다. 방광이 소변으로 가득차면 방광, 요도와 연결된 신경이 뇌와 척추에 있는 배뇨증추에 신호를 보내 소변을 배출하라고 명령합니다. 배뇨증추에 이상이 생기면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지 못하고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자꾸 소변을 배출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 질병이 요실금입니다. 요도괄약근에 이상이 생기면 소변이 시원하게 안 나오거나 끊기는 등 소변 배출에 이상이 생깁니다. 소변 배출이 잘 안되면 요도협착, 요도괄약근 부조화 등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소변 볼때 느끼는 증상에 따라 의심해 볼 질병이 있습니다. 아래의 경우를 보고 배뇨 장애가 의심되면 비뇨기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히 진단을 받아보아야 합니다.


1. 소변 줄기가 약해졌다.

방광기능 저하, 방광기능 부전, 요도협착 등의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방광에서 배출하는 힘이 약하거나 배출하는 통로에 저항이 생기면 소변줄기가 약해집니다. 요도협착은 수술 해야 합니다.


2. 소변 줄기가 갈라지거나 흩뿌려진다.

요도염, 요도협착, 요도구종물 등의 질환 가능성이 있습니다. 방광과 요도 안을 내시경을 통해 직접 보면서 검사하는 방광요도내시경이나 요도 촬영술을 통해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요도염증에 의해 일시적으로 점막이 달라붙는 경우는 약물치료로 나을 수 있지만 심한 경우 수술을 받아야합니다.


3. 소변이 끊어졌다가 다시 나온다.

요도협착, 요도괄약근 부조화, 방광기능 저하일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방광에서 소변을 잘 배출하지 못하는 사람은 배의 힘을 빌려 복압으로만 배뇨를 합니다. 이런 경우 복압을 계속 유지하기 힘들어서 소변을 찔끔거리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요도에는 요실금을 방지하기 위해 괄약근이 있는데, 정상 배뇨 시에는 괄약근이 열리지만 요도괄약근 부조화인 경우에는 잘 열리지 않아 소변이 끊어집니다.


b7430087a562a7f5398ad01072bc529a_1651408766_6732.jpg
 

4. 소변이 마려워도 한참 뜸을 들였다 나온다.

방광기능 부진으로 소변을 배출하는 힘이 감소되었거나, 요도협착 등이 있을 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5. 소변을 다 본 뒤 요도 끝에서 소변이 여러 방울 떨어져 속옷을 적신다.

배뇨근육과 괄약근육이 마지막 잔뇨 처리를 잘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방광기능 저하, 요도괄약근 부조화, 골반기능 이상 등을 의힘해볼수 있습니다.


6. 하루에 소변을 8회 이상 본다.

방광기능 장애를 가진 과민성방광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요도협착증 등에 의해 하부 요도가 막혔을 때도 나타납니다. 주간에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은 주간 빈뇨, 야간에만 있는 빈뇨는 야간뇨 혹은 야노라고 합니다. 야간뇨는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요농축을 하지 못하는 만성신부전 환자나 하부요로폐쇄성질환 환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야간뇨 없이 주간 빈뇨만 보이는 경우에는 신경성 긴장에 의한 것은 아닌지 의심해 보아야합니다.


7. 자다 깨서 소변을 본다.

과민성방광, 야간다뇨증이 있으면 주로 발생합니다. 잠잘 때 소변을 오래 참을 수 있는 이유는 신장의 소변 농축 능력이 커지는 반면, 소변 생성 능력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잠에서 깨 소변을 보는 경우는 신장 기능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잠자리에 들려고 누울 때마다 신장으로 오줌이 몰려 소변을 보고 싶다면 울형성신부전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본인도 모르게 잠자리에 실례를 하는 야뇨증이 생기면 비뇨기과에서 배뇨기능검사를 받아봐야 합니다.


b7430087a562a7f5398ad01072bc529a_1651408784_9385.jpg
 

8. 소변 양이 많지 않은데 화상실에 급히 가서 소변을 본다.

복압성요실금, 방광탈출, 방광염, 과민성방광으로 인한 방광기능항진증이 발생하면 소변을 저장하는 기능을 잃게됩니다. 복압성요실금은 기침, 재채기, 줄넘기나 무거운 것을 들 때 등 배에 히이 가해지면서 나타납니다. 복압성요실금은 요도와 방광을 지지하는 골반근육이 약해지거나 요도 자체 기능에 이상이 생겨 요도가 닫히는 능력이 떨어졌을 때 발생합니다. 반복적 임신과 출산, 폐경, 비만, 천식 등 지속적으로 기침을 유발하는 질환, 자궁적출술 등 골반 부위 수술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9. 소변 볼 때 통증이 있다.

방광염이거나 방광과 요도에 결석이나 이물질이 생긴 요로결석일 수 있습니다. 특히 요로결석 통증은 여성의 출산통과 비견될 정도로 매우 심한것이 특징입니다.


10. 소변을 본 뒤에도 잔뇨감이 있다.

재발성방광염, 과민성방광, 방광기능 저하일 경우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비뇨기과를 찾아 실제로 잔뇨가 남는 것인지 감각이상에 의한 잔뇨감인지를 구별해야 합니다.


11. 혈뇨가 나온다.

혈뇨는 소변에 비정상적으로 많은 적혈구가 섞여 배설되는 것으로 요로결석, 방광염, 등의 질환이 있을 때 주로 나타납니다. 눈으로 색깔 별화를 알아볼 정도의 혈뇨는 육안적 혈뇨, 현미경으로만 보이는 것은 현미경적 혈뇨라고 합니다. 약물이나 음식 영향으로 단순히 소변이 붉게 보이는 현상과는 다릅니다. 혈뇨는 신장에서 외요도구에 이르는 요로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출혈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혈뇨가 나오면 무엇보다 출혈 부위가 어디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소변검사와 혈액검사, 신장초음파와 컴퓨터단층촬영 등의 검사를 합니다. 특히 노인에게 육안적 혈뇨가 있거나 흡연자인 경우에는 암에 대한 정밀 검사를 받아야합니다.


12. 건강한 배뇨를 위한 생활습관

1. 방광을 자극하는 음식물을 덜 먹는다. 알코올, 커피와 녹차 처럼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 초콜릿, 탄산음료, 신맛 나는 과일 주스, 오렌지, 자몽, 레몬 등 이뇨작용이 강한 음식물 섭취를 줄입니다. 매운 음식, 꼴과 설탕, 인공 감미료 등도 물을 많이 마시게 하므로 멀리합니다.


2. 매일 물 6~10잔을 마신다. 하루 권장 수분량은 240cc짜리 보통컵으로 6~10잔입니다. 물을 많이 마실수록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데요 하루 평균 2000cc 이상의 수분섭취는 신장에 무리를 줍니다.


3. 금연한다. 흡연 자체가 배뇨에 무리를 주진 않습니다. 흡연으로 인한 만성기침은 골반저근육에 긴장감을 주고, 방광수축을 자극해 요실금을 일으킵니다.


4. 비만이 되지 않도록 체중을 조절한다. 등산이나 걷기 같은 유산소운동을 해서 체중을 조절합니다. 뚱뚱하면 골반근육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져 요실금과 같은 배뇨장애가 생깁니다.


5. 케겔운동을 한다. 케겔운동이라 불리는 골반근육 강화운동은 요실금 환자뿐만 아니라 과민성방광 환자에게도 도움이됩니다. 단 매일 운동해야 효과기 있으며 골반의 수축과 이완 운동을 적절히 나워서 해야합니다. 수축운동만 하면 오히려 요도괄약근 부조화를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 여성전문 미즈케어 솔루션 상담신청 남기기 <<


< 내용출처 : 헬스조선>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